간편 전자세금계산서 발행·관리 플랫폼 ‘볼타’(Bolta)를 운영하는 핀테크 기업 볼타코퍼레이션(대표 이문혁)이 지난 10일 전북 전주시 라한호텔에서 열린 ICT전국협의체 콘퍼런스에 참여해 ICT 지원기관 및 정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정보보호 강연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주최로 열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전국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운영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간편 전자세금계산서 발행·관리 플랫폼 ‘볼타’(Bolta)를 운영하는 핀테크 기업 볼타코퍼레이션(대표 이문혁)이 지난 10일 전북 전주시 라한호텔에서 열린 ICT전국협의체 콘퍼런스에 참여해 ICT 지원기관 및 정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정보보호 강연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주최로 열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전국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운영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전국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실무자들이 산업 현장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정보 유출 및 보안 위협 사례를 공유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볼타의 진태양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이날 ‘정보보호 가이드라인 및 대응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최근 전자세금계산서 등 기업의 핵심 재무·거래 시스템을 겨냥한 보안 사고가 잇따르며 정보보호의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정보 유출 사고는 대규모의 금융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제도적 보안책 마련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ICT전국협의체 콘퍼런스에서는 산업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정보보호 가이드라인과 대응방안을 공유했다.
진 CTO는 강연에서 “보안 시스템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를 버리고, 모든 접근과 행위를 끊임없이 검증하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철학을 도입해야 한다“며 “산업현장 전반에 걸쳐 보안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보안 이슈를 단순히 기술 방어 차원이 아닌, 전사적 경영 리스크 관리 및 신뢰도 제고의 문제로 격상시켜 경영진의 적극적인 참여와 조직 문화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볼타의 솔루션은 전자세금계산서, 미수금 정산, 거래 데이터 관리 등 기업의 민감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구축해온 보안 기술과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기업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보안 체계 수립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